목차
-줄거리와 출연배우
-아시아 리메이크붐
1. 줄거리와 출연배우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고 사는 중년의 주부 나미가 영화의 주인공이다. 자식과 남편을 케어하는 가정주부로서 삶이 나쁘진 않지만 삶은 무엇인가가 빠진 듯하다. 병원에 방문하였다 우연히 고등학교 동창을 재회한다. 다시 만난 친구 춘화는 말기 암 상태로 예전에 무리의 리더였던 씩씩한 친구다. 춘화가 죽기 전 소원은 고등학교 때 친구 그룹이었던 써니의 멤버들을 다시 만나는 것이다. 과거 주인공 나미는 지방에서 서울에 있는 여자고등학교로 전학을 온다. 하지만 전학 첫날 무척 긴장한 탓에 자기소개 도중 사투리가 나와 새 학교에서 비웃음거리가 된다. 웅크려진 그녀에게 손을 먼저 내민 친구가 병원에서 만난 춘화였다. 리더십 있는 춘화는 그녀가 마음에 들었고 자기 친구 그룹에 그녀를 포함한다. 카리스마 있는 춘화, 얼굴이 콤플렉스인 장미, 욕을 잘하는 진희, 성격이 쎈 금옥, 어리숙한 공주병 복희, 도도한 수지가 이 그룹에 속해있다. 각자 매력과 성격이 뚜렷한 탓에 친구들과 어울리며 나미는 예상치 못한 각종 사고와 모험을 경험한다. 카페에서 기타를 치는 멋쟁이 오빠와 로맨스를 경험하기도 하며, 친구들과 즐겁게 축제 때 출 춤 연습을 경험하며 그녀의 학창 시절은 아름답게 빛난다. 하지만 제일 추억이 빛났을 축제 당일 그녀의 친구 중 하나인 수지가 불량 학생에게 공격당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그 사건을 기점으로 예전처럼 친구들과 가깝게 지낼 수 없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나이를 먹으며 흩어지게 된 것이다. 흥신소 등 각종 방법을 동원한 끝에 그녀는 친구들과 재회에 성공한다. 수지만 제외하고 말이다. 그리고 그녀는 다시 교복을 입고 자기 딸을 괴롭혔던 청소년들을 혼내며 인생에서 어딘가 부족하다고 느꼈던 부족한 부분을 채우며 마침내 환하게 웃는다. 하지만 말기 암 환자였던 춘화는 끝내 죽음을 맞이한다. 재회한 친구들과 춘화 장례식을 지키고 있는 와중 예상치 못한 인물과 만나게 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영화의 주연과 조연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 영화는 아역배우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성인역을 맡은 배우와 아역을 맡은 배우의 이름을 같이 적었다. 주연-임나미(배우: 유호정, 아역: 심은경), 하춘화(배우: 진희경, 아역: 강소라), 김장미(배우: 고수희, 아역: 김민영), 황진희(배우: 홍진희, 아역: 박진주), 서금옥(배우: 이연경, 아역: 남보라), 류복희(배우: 김선경, 아역: 김보미), 정수지(배우: 윤정, 아역: 민효린), 한준호(배우: 이경영, 아역: 김시후), 이상미(배우: 천우희). 아역과 성인 배우들의 싱크로율이 높다. 또한 2011년에 개봉하였을 때 신입이었던 아역배우들이
23년 현재 몇몇은 유명 배우가 되었다. 심은경 배우는 한국과 일본으로 오가며 영화 주연을 맡고 있다. 일본어로 연기하며 일본 아카데미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일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강소라 배우 또한 동네변호사 조들호, 미생 등의 알찬 필모그래피를 쌓으며 꾸준히 안정적인 연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20년에 결혼 후 21년에 아이를 출산하였다. 상미역의 천우희는 영화 써니를 통해 연기력에서 가장 화제를 받은 인물 중 하나이다. 맡은 캐릭터가 중독자이자 극도의 폭력성을 지닌 캐릭터인데 이것을 위화감 없이 자연스럽게 연기했다. 그 이후 한공주, 곡성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와 같은 작품으로 대중에게 꾸준히 좋은 연기를 펼치고 있다. 과거에도 지금도 미래에도 연기가 기대되는 배우다.
2. 아시아 리메이크붐
해당 작품의 리메이크가 이뤄진 홍콩,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5개 국가이다. 미국에서도 진행이 논의되었지만 진행되는 소식을 들리지 않고 있다. 5개 국가 중 가장 큰 성공을 이룬 곳은 베트남이다. 현지에서 박스오피스 1위는 물론이고 무려 745만 관객을 동원했다. 참고로 이는 2018년 기준 베트남 현재 영화 상위 5위안에 드는 관객이라 한다. 5개 국가에서 리메이크가 이뤄지고, 몇 국가에서는 흥행성 정도 좋아 인정받은 리메이크 케이스이다. 영화 써니의 어떤 부분이 이런 성공을 이루었는가. 첫 번째는 복고 감성이다. 영화의 배경은 80년대 고등학생들의 이야기이다. 시간으로 따지면 2010년대 기준 40~50대들의 학창 시절 배경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중년들의 학창 시절 향수를 건드리며 현재 배경까지 아우르는 영화의 타임라인은 다양한 세대를 포용한다. 두 번째는 누구나 공감하는 가치를 잘 담아냈다. 영화에서는 친구, 우정 요소가 중요하게 나온다. 지금의 10대도, 40대 중년도 모두 이해하고 가깝게 느끼는 가치와 감정이다. 세 번째로 탄탄한 스토리이다. 영화는 현재와 과거를 넘나든다. 그 과정에서 에피소드가 현재와 억지스럽지 않게 이어지며 보는 이들을 설득하고 흡인력 있게 빠져들게 한다. 또한 유머와 감동 두 가지를 자연스럽게 녹이며 관객의 감정을 들었다 놨다 한다. 마지막으로 어느 국가도 적용 가능한 스토리를 담고 있다. 전학 간 학교에서 친구를 만나고 사랑과 우정을 쌓는다. 그리고 어른이 되어서 다시 만난다는 이야기는 전 세계 대부분 통용되는 스토리다. 실제로 각 나라에서 리메이크를 진행할 때 스토리 뼈대는 그대로 하고 음악 등의 문화적 요소만 바꾼 사례도 있다. 이야기 틀 자체가 어디든 공감하고 실제로 친숙하기 때문에 리메이크하기 원활한 것이다. 앞으로도 많은 한국작품의 해외 리메이크를 기대한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 빠진 로맨스, 귀엽고 찌질한 손석구를 볼 수 있는 로맨스 영화 (0) | 2023.04.19 |
---|---|
기생충, 관람 후 생각이 많아지게 하는 영화 (0) | 2023.04.18 |
아메리칸 셰프, 쿠바샌드위치를 한국인에게 알리다 (4) | 2023.04.17 |
알라딘, 어린이와 어른 모두 즐길 수 있는 디즈니 영화 (2) | 2023.04.17 |
상사에 대처하는 로맨틱한 자세, 탑건 행맨의 인턴시절을 볼 수 있는 영화 (0) | 2023.04.16 |
댓글